본문 바로가기
  • 안동 마음씨농장
728x90

농작물재배기술34

봉화에서 수박 접목 이야기 , 수박 모종 키우기 수박을 키우기 위해서 수박씨와 참박씨를 키워서 접목하는 과정이 필요하게 됩니다.  그 과정을 설명합니다.  수박을 접목합니다.수박과 참박을 서로 붙이는 작업접목을 진행합니다. ▣ 준비사항1. 식탁형 작업대 (컨테이너 박스와 널판지이용)2. 접목용 면도날 ( 수박모종및 참박 자를때 이용)3. 자른 수박모종을 담을 비닐 또는 스티로폼박스4. 접목후 덮어줄 소폭비닐 (습도를 높여 접목이 잘되게)  5. 수분보충을 위한 분무기6. 튼실하게 키운 수박모종과 참박모종  수박모종은 32구 포트에 수박씨를 7개~8개 넣고 키운후 줄기하단을 면도칼로 잘라서 스티로품 박스에 담는다. 담고 나서 수분이 날라가지 않도록 뚜껑을 덮어준다. ▣ 수박 접목을 하는 이유 더 좋은 품질의 수박을 만들기 위함으로  , 뿌리 부분엔 참박.. 2025. 1. 2.
고구마 재배기술 고구마의 기원 및 전파      가. 지리적 기원   고구마의 원산지는 중앙아메리카로서 정확히 말하면 중앙아메리카 멕시코에 있는 유카탄반도 지역과 남미 베네수엘라에 위치한 오리노코강 하구지역 사이가 원산지로 알려지고 있다. 이 지역에서는 적어도 2000년 이상 인간에 의해 고구마가 이용되었고 현재 재배되고 있는 재배종이 이 지역에서 야생되고 있다.   나. 전파   남태평양의 여러 섬에서는 콜럼버스가 미대륙을 발견하기 이미 오래전부터 식량으로 재배해 왔었다. 어떻게 해서 남태평양 여러 섬에 고구마가 중앙아메리카에서부터 전파되었는가에 대해 많은 추측이 있다. 가장 근거가 있는 논리는 페루 항해인들이 뗏목을 타고 남태평양 여러 섬으로 전파시킨 것이라고 믿고 있다.콜럼버스가 아메리카 대륙을 발견한 이후에 고구.. 2024. 12. 29.
생강재배기술 작형 및 재배관리      생강은 생강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서 땅속에서 발달하는 덩이줄기는 옅은 황색 또는 붉은색의 다육질이다. 잎은 줄기에 2줄로 어긋나기도 하며 잎새는 버들잎처럼 긴 바소형이고 길이는 15∼30㎝로서 밑부분은 풀모양으로 길게 줄기를 싸고 있다. 번식은 덩이줄기를 주로 이용하며 가공용, 양념용 또는 약용으로도 이용된다. 생강의 원산지는 인도와 말레이지아 등지로 추정하며 동인도의 흰다스단 지방이 원산지로 추정되고 있다. 중국에서는 2,500여년전에 생강이 재배 되었다는 기록이 있으며, 지금의 사천성이 생강의 산지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고려사(현종 9년 1018년)’가 생강에 관한 기록이 처음으로 나오는 자료로 고려 현종 때 생강이 왕의 하사품으로 쓰여 졌다는 기록으로 보아.. 2024. 12. 29.
절기별 농사이야기 절기별로 해야할 농사일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 24 절기별 선택 바로가기 ]1. 입춘(立春) 2. 우수(雨水) 3. 경칩(驚蟄) 4. 춘분(春分) 5. 청명(淸明) 6. 곡우(穀雨) 7. 입하(立夏) 8. 소만(小滿) 9. 망종(亡種) 10. 하지(夏至) 11. 소서(小暑) 12. 대서(大暑) 13. 입추(立秋) 14. 처서(處暑) 15. 백로(白露) 16. 추분(秋分) 17. 한로(寒露) 18. 상강(霜降) 19. 입동(立冬) 20. 소설(小雪) 21. 대설(大雪) 22. 동지(冬至) 23. 소한(小寒) 24. 대한(大寒)  "> 1. 입춘(立春) - 2/4 (날짜: 2월 1일 ~ 15일)농사준비고추 모종 키우기고구마 씨: 흙에 넣어 방안에 두기, 왕겨숯 만들어 놓기밭마다 김매고 웃거름 주기밀밭, .. 2024. 12. 28.
수박재배 수박재배기술 고품질 수박 재배 기술1. 고품질 수박 재배가. 재배기술상의 문제점수박은 파종에서부터 수확까지 4개월 이상 소요되는 작물로서 재배 기간동안 3번의 부적당한 환경에 부딪치게 된다.■ 첫째는 육묘기와 정식초기의 저온이다. 특히 지온이 낮을 경우는 심각하다. 저온을 만나면 대부분의 경우 보온을 하게 되는데 이때 자칫 잘못하면 묘가 도장되기 쉬우며 활착이 나빠지고 생육이 부진해진다.■ 둘째는 장마이다. 덩굴이 과번무(지나치게 무성함)하기 쉬우며 또 오랜 비와 광선 부족, 그리고 다습으로 말미암아 식물체가 연약해지기 쉽고 병 발생도 많다.■ 셋째는 7~8월의 고온 건조인데 바로 비대 성숙기에 해당하며 수확이 임박해진다. 수박은 본래 고온 건조를 좋아하는 작물이지만 장마동안 다습건조에 적응되어 오다가 고온건조를 만.. 2024. 12. 28.
야콘 재배 방법 알아보기 야콘의 특성 "땅속의 배" 로 별명이 붙여있듯이 올리고당성분으로 단맛이 좋고 겨울철에 간식으로 최고입니다. 또한 당뇨병 환자들이 먹어도 좋고 변비나 위장, 소화불량이 있을때도 좋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식품입니다. 야콘은 생명력이 강하고 병충해에 강하다. 왠만한 병에는 걸리지 않으며 농약을 주지 않아도 성장에 큰 문제가 없다. 야콘은 비료를 많이 요구하지 않는다. 약간의 퇴비만으로 재배가 가능하다. 거름을 많이할시에 갈라짐이 발생할 수 있다. 야콘은 마사토질의 부드러운 토질 물빠짐이 좋은 토양 에서 잘 자란다. 야콘은 수분으로 구성이 되어 있으므로 수분공급에 노력해야 한다. 야콘재배 관리 야콘을 재배할 때는 씨앗.. 2024. 12. 28.
서리태효능, 서리태 수확시기 서리태란?검정콩의 한 종류로, 서리 이후에 수확한다고 하여 서리태라고 불리게 되었습니다.  서리태 종류는 늦서리태, 청서리태, 귀족서리태, 서리태 약콩 등이 있는데요.  일반 콩보다 검은콩 효능이 주목받는 만큼 검정 서리태 효능도 많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서리태 효능은 대표적으로 항산화 작용과 여성 건강 등을 들 수 있습니다. 서리태에는 항산화 성분이 풍부하여 노화를 억제해주고 각종 성인병과 암까지 예방해주는 효능이 뛰어난데요. 특히 서리태에는 여성호르몬과 비슷한 이소플라본 단백질이 풍부하여 여성 건강에 많은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요즘 서리태 가격은 보통 100g당 2천 원 내외인데요. 직접 서리태 재배법을 공부하여 직접 재배하는 분들도 늘고 있습니다. 서리태는 원산지가 우리나라인 만큼 우리나라.. 2024. 12. 28.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