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비란 무엇인가?
퇴비는 썩지 않은 유기물을 잘 부숙시켜 농경지에서 사용하기 편리하게 만든 것입니다. 퇴비를 제조하면 볏짚이나 보릿짚처럼 부피가 큰 재료는 부피가 작아지고, 외양간 두엄, 쇠똥, 닭똥 같은 축산부산물은 냄새가 없어져 사용이 편리해지는 이점이 있습니다.
퇴비 제조 과정에서는 세균이나 곰팡이 등 미생물의 왕성한 활동이 필요합니다. 이 미생물들이 활동하기 적합한 환경을 만들어 유기물이 고루 잘 부숙되도록 하는 것이 퇴비 제조의 기본 원리입니다.

농사후 나온 농사 부산물들을 최대한 많이 활용하면 좋습니다.
수수,조,참깨,들깨 와 볏짚 경운기 동력을 이용한 파쇄기로 파쇄합니다.


☞ 퇴비만들기의 기본 원리
- 재료에 적당한 수분을 맞추어 준다.
미생물의 활동을 활발하게 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조건은 수분입니다. 퇴비 재료의 수분은 60~70%가 적당하며, 손으로 재료를 꽉 쥐었을 때 손가락 사이로 물이 스미는 정도가 알맞습니다. - 미생물의 호흡에 필요한 공기가 잘 통하도록 한다.
퇴적물에 공기가 잘 통해야 미생물의 호흡 및 활동이 활발해져 분해가 빠르고, 좋은 퇴비가 생산됩니다. 특별한 시설이 없는 경우, 퇴비 퇴적물 사이에 거친 유기물이나 나무 다발을 넣어 공기가 잘 통하게 해야 합니다. - 미생물의 번식에 필요한 영양분을 공급한다.
미생물은 탄소화합물인 유기물을 분해해 생활에 필요한 에너지를 얻고, 질소를 흡수하여 단백질을 만듭니다. 따라서 미생물이 번식하려면 탄소와 질소 중 어느 하나가 부족하지 않도록 재료의 비율을 적절히 조절해야 합니다. - 산도(酸度)를 알맞게 조절해 준다.
퇴비를 부숙시키는 미생물의 활동에 적합한 산도는 중성(pH 7.0)이나 약알칼리성입니다. 하지만 퇴비 제조 과정에서 산성으로 변할 수 있기 때문에, 재료를 쌓을 때 석회를 적절히 뿌려 산성화를 막아야 합니다. - 뒤집어 쌓기를 잘 해준다.
짚류를 쌓아 퇴비를 만들 경우, 내부 온도가 60~80°C까지 올라갑니다. 이때, 높은 온도에서 활동하는 호열성균이 짚류의 섬유질을 분해합니다. 이후 온도가 내려가기 시작하면 퇴비를 뒤집어 쌓아야 효과적입니다. 이는 온도가 최고로 올라갔다가 내려간 후에 이루어져야 합니다.
☞ 퇴비의 완성도를 확인하는 방법
1. 색상과 질감
완전히 부숙된 퇴비는 짙은 갈색 또는 흑갈색을 띠며, 균일한 색상을 가집니다.
퇴비 속에 들어 있던 원래 재료(볏짚, 잎 등)의 형태가 대부분 사라지고, 가루처럼 부드러운 질감을 가집니다.
2. 냄새
잘 부숙된 퇴비는 부드럽고 흙냄새와 비슷한 냄새를 풍깁니다.
미완성 퇴비는 썩는 듯한 악취(암모니아 냄새, 산성 냄새 등)가 날 수 있습니다.
3. 온도 변화
퇴비 제조 중 내부 온도는 60~80°C까지 올라가지만, 부숙이 완료되면 온도가 외부 환경과 비슷하게 내려갑니다.
온도가 지속적으로 높거나 다시 상승한다면 부숙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일 가능성이 큽니다.
4. pH 수준
완성된 퇴비의 pH는 중성(약 pH 6.5~7.5)에 가까워야 합니다.
pH가 낮아 산성 상태이거나 너무 높은 알칼리성이라면 아직 부숙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입니다.
5. 수분 함량
완성된 퇴비는 약간 축축하지만 물기를 짜낼 정도로 젖어 있지 않습니다.
손으로 만졌을 때 부드럽고 적당한 수분감이 느껴지며, 너무 건조하거나 질척거리지 않아야 합니다.
6. 식물 반응 테스트
완성된 퇴비를 작은 화분에 넣고 씨앗을 뿌려 발아와 성장 상태를 확인합니다.
발아율이 높고 식물이 정상적으로 성장한다면 퇴비가 안전하게 사용 가능한 상태입니다.
반대로 발아가 억제되거나 식물이 시드는 경우, 부숙이 불완전하거나 유해 성분이 남아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 주요 재료별 탄질율
재료 | 탄질율(C/N) | 특징 및 참고사항 |
볏짚, 보릿짚 | 50:1~100:1 | 탄소 함량이 높아 단독 사용 시 질소 보충이 필요. |
톱밥 | 200:1~500:1 | 매우 높은 탄질율, 보통 질소 재료(축산부산물)와 혼합 필요. |
잔디깎은 풀 | 15:1~20:1 | 질소 함량이 높아 탄소 재료와 혼합하여 사용. |
나뭇잎 | 40:1~80:1 | 중간 정도의 탄질율, 부숙 속도는 재료 상태에 따라 다름. |
외양간 두엄(소똥) | 18:1~25:1 | 질소 함량이 적당, 탄소가 풍부한 재료와 혼합 시 효과적. |
닭똥 | 6:1~12:1 | 질소 함량이 매우 높아 탄소 재료와 균형 맞춰야 함. |
돼지똥 | 15:1~20:1 | 중간 정도의 탄질율로 다양한 재료와 혼합 가능. |
커피 찌꺼기 | 20:1 | 탄질율이 적당해 다른 재료와 혼합하기 쉬움. |
☞ 낙엽모아 내방식대로 퇴비 만들기


먼저 낙옆을 모아봅니다. 많은 양이다 싶지만
낙옆은 물과 퇴비를 석고 발효가 되면 10/1로 줄어드는것 같습니다.
양을 어마하게 모아야 합니다. 특히 낙엽은 건조된 상태이므로 퇴비과정에서 많은양이 줄어들게 됩니다.
아무튼 여러번 작업해서 물뿌리고 퇴비(10포)섞어서 숙성중•••••
☞ 퇴비 발효 기간
최소한 3개월 :
3개월 동안에도 충분희 열이 발생해서 초기온도가 60도 이상 올라가면 퇴비 사용가능
초기온도가 올라가면서 퇴비 주변에 열이 많이 발생한다.
3개월이어도 충분히 열이발생하고 2번 정도 뒤집기 해주면 충분하지만 너무 질소비중이 높고
발효중 역한 냄새가 발생시에는 사용하면 안된다.
최대한 1년 숙성 권장 :
충분희 발효된 퇴비는 1년 농사의 성공요인이 된다. ( 완숙퇴비 )
완숙된 퇴비는 구수한 냄새가 나고 역한 냄새가 없다.


☞ 퇴비만들기 나만의 메뉴얼
첫째, 다양한 재료가 섞여야 좋은 퇴비가 되겠습니다.
( 들깨대 수수대 참깨대 콩대 메밀대 볏짚 밭주변의낙옆..)
둘째, 수분공급 필수
모든것은 파쇄한후 물을 뿌려서 수분을 제공해줍니다.
그래야 소거름과 만나서 발효가 잘 됩니다.
물을 뿌리고 손으로 주먹쥐어서 물이 안떨어질 정도로 준다.
( 생각보다 물이 많이 주어야 됨 )
셋째, 발효제와 미강 과 EM미생물을 공급해준다.
미강과 발효제, 부엽토를 3~4일전에 섞어서 준비해둔다.
쓰다남은 비료등은 버리지 말고 퇴비에 썩는다.
네째, 온도 확인하기.
오늘 온도계를 찔러봤는데 70도까지 나오면 최곱니다.
즉 온도가 올라야 발효가 잘되고 나쁜 미생물이 적어지고
풀씨등도 타서 발아 불능이되죠.
다섯째, 바닷물로 미네랄공급,
조개껍질 굴껍질 개껍질등으로 키토산 공급 등
올해는 못했지만 좋은퇴비를 위해서 좋은재료입니다.
여섯째, 2번 정도 더 뒤짚기 ( 2주 간격으로 2번 )
매년 농사를 위한 퇴비작업은 앞으로는
필수적인 작업이 되었습니다.
퇴비를 만드는 작업은 쉽지 않은 작업입니다. 농사를 마치고 힘들지만 쉬고 싶어도 다시한번 마음먹고 해야하는 고된 일입니다. 그렇지만 보다 친환경적이고 효율적으로 농사를 하기 위해서는 필요한 작업으로 퇴비작업을 하므로써 최종적으로 농사일이 종료가 된다고 생각됩니다.
'농사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추 씨앗 파종 및 발아 관리 , 전열기와 전열선 활용 (4) | 2025.02.07 |
---|---|
2025년 마음씨농장 고추씨앗 준비하기 (2) | 2025.01.15 |
고추모종 온상 설치하기 (1) | 2025.01.07 |
서리태콩 수확시기 와 야콘 수확시기 (0) | 2024.12.30 |
가을겉이 하기 ( 호박, 들깨, 땅콩, 배추 ) (1) | 2024.12.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