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안동 마음씨농장
식물이야기

양봉 대표적인 밀원식물 알아보기

by 마음씨농장 2025. 1. 29.
728x90

1. 아까시나무(학명: Robinia pseudoacacia, 콩과) 

아까시나무는 국내 양봉 산업에서 필수적인 밀원식물로, 국내 꿀 생산량의 약 80%를 차지하는 아까시나무 꿀(아카시아꿀)은 양적으로 풍부할 뿐만 아니라 국제적으로도 우수한 품질로 인정받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의존도는 몇 가지 문제점을 동반하고 있으며, 특히 아까시나무의 짧은 개화기간(약 10일)과 환경적 요인으로 인한 생산량 변동이 주요 과제로 지적되고 있다.

아까시나무 꿀 생산 감소의 주요 원인

기후 변화의 영향

개화 이전의 고온 및 개화기 저온:
2004년 대구 지역에서는 아까시나무가 4월 24일 개화했으나, 개화 이전 열흘간의 고온(최고 30도)과 개화기 저온(최고 22도 미만)이 꿀 생산 감소의 원인이 되었다. 아까시나무 꿀의 생산량은 개화기 동안 최적 온도(25도 이상)에서 극대화되는데, 저온이 지속되면서 꽃에서 꿀 분비가 저조했다.

꿀벌 활동의 저하:
저온으로 인해 아까시나무 꽃에서 꿀이 적게 분비되었고, 꿀벌의 활동량이 감소했다. 양봉가들은 꿀벌이 제한적으로 활동하거나 일하지 않는 현상을 관찰하였다.

개화기 중 잦은 강수

개화 기간 중 빈번한 강우로 인해 꿀벌의 활동이 제한되었고, 꿀벌의 저장 꿀량이 감소하였다. 일부 지역에서는 강우로 인해 꿀벌의 식량 부족 및 아사 현상까지 발생하였다.

밀원 대비 꿀벌 과잉

아까시나무 개화 시기에 양봉인구 증가와 꿀벌 과잉으로 인해 꿀벌 간 경쟁이 심화되었다. 경북 신동재의 경우, 개화기 동안 꿀벌의 수가 꽃보다 많다는 지적이 있었다.

아까시나무 개체수 감소

참나무류 등 음수성 수종의 경쟁과 태풍 피해, 황화현상, 아까시잎혹파리 등의 영향으로 아까시나무의 개체수가 지속적으로 감소하였다.

산림청의 ‘숲 가꾸기’ 사업에서도 아까시나무는 제거 대상이 되는 경우가 많았다.

병해충과 생리적 이상

아까시잎혹파리, 진딧물 등의 병충해와 황화현상이 아까시나무의 생장을 저해하고 꽃의 수를 감소시켰다. 일부 지역에서는 개화 직후부터 잎 조기 황화 현상이 관찰되었다.

문제 해결을 위한 대책

아까시나무 보호 정책 수립

산림청 및 지방자치단체와 협력하여 숲 가꾸기 사업에서 아까시나무를 제거하지 않도록 정책적 보호를 강화한다.

적극적 관리

아까시나무 숲에 비료를 투입하고, 경쟁 수종인 참나무류를 제거하여 아까시나무의 생장을 촉진한다.

연구 및 정책 개발

황화현상, 아까시잎혹파리, 병해충 등에 대한 연구를 강화하고, 이를 기반으로 아까시나무 보호 및 양봉 지원 정책을 마련한다.

대체 밀원식물 개발

꿀 생산의 안정성을 위해 아까시나무 외의 밀원식물을 개발하여 의존도를 낮춘다. 밀원식물의 다양화는 기상이변 등으로 인한 생산량 감소를 완화하고, 양봉 산업을 더욱 안정화시킬 수 있다.

아까시나무는 국내 양봉산업에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밀원식물이지만, 그 의존도와 환경적 제약으로 인해 안정적인 꿀 생산이 어려운 상황이다. 이에 따라 아까시나무 보호 및 관리 강화와 함께 대체 밀원식물 개발이 양봉 산업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필수 과제로 부각되고 있다.

 

 

2. 헛개나무  (학명: Hovenia dulcis, 갈매나무과)

헛개나무 자생지와 현황

헛개나무는 우리나라 중부 이남 해발 50~800m의 산복 이하 계곡 부위에 주로 자생.

줄기는 곧게 자라며, 수피는 세로로 잘게 갈라짐.

잎은 호생하며 넓은 난형으로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고 뒷면은 연한 녹색으로 산뽕나무 잎과 유사.

꽃은 취산화서로 잎겨드랑이나 가지 끝에 붙으며, 길이는 4,6cm, 7,8월에 황록색으로 핌.

열매는 갈색으로 울퉁불퉁한 육질 자루를 가지며 달콤한 맛이 있음.

헛개나무의 약리적 효능

헛개나무 과병(열매자루)에서 추출된 활성 화합물:

숙취 해소, 알코올성 간질환 예방 및 간 해독 효과.

혈당 강하와 같은 기능성 물질 포함.

주요 성분: HodulosideⅠ~Ⅴ, Hovenine A, Hovenolactone, Saponin C₂ 등.

우량 품종 개발 및 재배

국립산림과학원에서 우량 품종 개발:

5년생 기준으로 기존 품종보다 1.8~2.5배 많은 과병 생산.

대량 증식 후 농가 보급으로 소득 증대 기대.

재배 및 묘목 생산:

헛개나무의 종자 채취 시기: 10월 중~하순.

종피가 두꺼워 발아율이 낮아 황산 처리, 저온 저장 등 전처리 필요.

발아율: 황산 처리(88%) > 습윤 저온 저장(24%) > 노천 매장(20%) > 상온 저장(3%).

1년생 또는 2년생 묘목 식재 적합, 초기 3년간 철저한 관리 필요.

접목묘는 3,4년 만에 개화, 실생묘는 6,8년 소요.

삽목:

삽목 시기: 4월 초 유령 휴면지 삽목 시 가장 효과적(발근율 85%).

모수령이 삽목 활착율에 영향.

헛개나무의 밀원수종 가치

벌들이 선호하는 취산화서 꽃 구조로 밀원수종으로 적합.

헛개나무 꿀:

뉴질랜드 마누카꿀 이상가는 기능성 벌꿀 생산 가능성.

기능성 물질이 풍부하여 고소득 밀원 작물로 전망.

국내산과 중국산 헛개나무의 구별

국내산 중국산
화축 형성: 5월 10일.
개화: 6월 10일.
과병 생장: 7월 10일.
과병 성숙: 9월 30일.
화축 형성: 6월 10일.
개화: 7월 10일.
과병 생장: 8월 20일.
과병 성숙: 9월 30일.

 

병해충 관리

주요 병해충:

진딧물: 마라톤 50% 유제 살포.

박쥐나방: 디프 40% 유제 살포.

식재 관리

적지 조건:

토심이 깊고 비옥하며 배수가 잘 되는 사질양토.

일조량이 많고 북풍 및 강풍이 없는 동남향 지역.

과거 밭으로 경작하던 한계 농지나 유휴지가 적합.

식재 밀도: ha당 약 1000~1500본.

 

식재 시기:

남부지역: 3월 초순~중순.

중부지역: 3월 중순~하순.

초기 3년간 매년 2회 풀베기와 유기질 비료 투입.

전망

헛개나무는 기능성 과병과 벌꿀을 동시에 생산할 수 있는 유망한 특용수종.

육성된 우량 품종은 신품종 등록 후 농가에 빠르게 보급 예정.

자생 자원을 보호하고 활용하여 농가 소득과 국민 건강 증대 기여 전망.

 

 

3. 쉬나무 (학명: Evodia daniellii, 운향과)

  • 분류: 운향과 낙엽소교목
  • 분포: 우리나라 각지, 중국
  • 높이: 최대 10m

생태 및 특징

  • : 대생하며 7,11매의 소엽으로 구성, 소엽은 타원형 장난형(길이 5~12cm)
  • 잎 뒷면: 회록색, 맥액에 꼬부라진 털 존재
  • 열매: 삭과, 10월에 연한 갈색으로 익으며 5개로 갈라짐, 검은색 씨앗 포함

개화 및 밀원식물로서의 가치

  • 개화 시기: 7월 초순 ~ 8월 중순 (약 40일간)
  • 꽃 색상: 연한 노란색~흰색
  • 특징: 한 화서에 약 3,000개의 꽃이 피며, 개체마다 개화 시기가 다름
  • 꿀원: 꽃이 적은 장마철에도 개화하여 중요한 밀원식물, 양봉업에서 활용 가능

활용

  • 기름 추출: 열매에서 기름을 짜서 등유, 머릿기름, 해충 구제용으로 사용
  • 새 먹이: 열매는 조류의 좋은 먹이
  • 과거 활용: 서당 및 봉화대 주변에 많이 심어졌으며, 등불용 기름으로 활용

재배 및 번식

  • 번식 방법: 씨앗으로 번식, 충실한 종자는 노천매장 시 90% 발아율
  • 기름 제거 방법: 종자 표면의 기름기를 제거하면 70~80% 발아율
  • 개화 조건: 7~8년생부터 개화, 접목 시 첫해 개화 가능하지만 이후 불가
  • 영양 관리: 영양분 소모가 많아 붕소 부족 시 열매가 정상적으로 맺히지 않음

특이 사항

과거 ‘산유국’ 논란: 2차 오일쇼크 당시 쉬나무 기름으로 대체 연료 연구 진행

지역별 명칭 차이:

경기도: 쉬나무

경상도: 소동나무

전라도: 수유나무

일본: 오수유

북한: 수유나무

 

쉬나무는 한여름의 중요한 밀원수종으로, 개화기를 조절하면 더욱 가치 있는 꿀나무로 활용 가능하다.

 

4. 때죽나무 (학명: Styrax japonica, 때죽나무과)

서식지 및 분포

600m의 양지바른 곳에서 자라는 낙엽활엽수

우리나라, 중국, 일본에 천연 분포

세계적으로 120여 종 존재

 

우리나라 때죽나무의 우수성

  • 꽃이 아름답고 레몬향이 짙음
  • 꿀이 많아 밀원수로 우수
  • 공해, 병충해, 추위에 강함
  • 미국 국립수목원에서 소흑산도에서 채집한 품종으로 새로운 관상수(에메랄드, 크리스탈) 개발

특징

  • 영어명: 스노벨(Snow bell)
  • 종 모양의 꽃과 열매가 달림
  • 꽃이 2~5송이씩 모여 달림
  • 잎은 길이 2~8cm, 넓이 2~4cm의 계란형

쪽동백과의 비교

  • 같은 때죽나무과에 속함
  • 쪽동백 잎은 길이 7~20cm, 넓이 8~20cm로 더 큼
  • 오동나무 잎과 비슷하며 뒷면이 회색이고 잔털이 많음

용도 및 활용

  • 풋열매를 갈아 물에 넣으면 물고기가 기절해 어획에 이용됨
  • 종자에 글리세리드, 지방유, 에고놀이 포함 → 머릿기름으로 사용
  • 꽃은 향수 원료, 인후통·치통 치료약으로 사용 (과다 복용 시 주의)
  • 옛날에는 때죽나무 가지를 이용해 빗물을 깨끗하게 정수하여 식수로 사용
  • 목재는 목기, 지팡이, 장기알 등 세공물 제작에 적합하지만 큰나무로 자라지 않아 용재수로는 가치 낮음

번식

  • 삽목 가능하지만 일반적으로 종자 번식이 더 좋음
  • 종자는 2년간 노천매장해야 발아 (쪽동백은 1년)

기타

우리나라 식물자원의 자원화 필요

외국에서 우리 식물로 새로운 품종을 개발해 상품화하는 사례가 있어 이에 대한 관심 필요

 

 

반응형

5. 음나무 (학명: Kalopanax pictus, 두릅나무과)

1. 음나무와 기능성 벌꿀의 가능성

음나무는 두릅나무과에 속하는 낙엽 활엽 교목으로, 우리나라를 비롯해 일본, 중국, 러시아 일부 지역에서만 자생하는 특용수종이다. 특히 음나무에서 생산되는 벌꿀에는 기능성 물질이 함유되어 있어, 마누카 벌꿀과 같은 고부가가치의 기능성 벌꿀 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2. 음나무의 생태적 특성

  • 생육 환경: 해발 1,600m까지 분포하며, 주로 700m 내외에서 잘 자란다.
  • 성장 특성: 최대 수고 30m, 직경 1.8m까지 성장하는 거목성 수종으로, 어릴 때는 내음성이 있으나 성장하면서 양지를 선호한다.
  • 개화 시기: 7월 하순~8월 중순에 개화하며, 이 시기는 벌꿀 생산이 어려운 시기로 기능성 벌꿀 밀원으로서의 가치가 크다.
  • 열매: 10월 상순경 검게 익으며, 종자 발아율이 낮고 천연 갱신이 어려운 편이다.

3. 음나무의 기능성 성분과 활용

음나무는 오래전부터 약용으로 활용되었으며, 주요 성분으로는 다음과 같은 기능성 물질이 포함되어 있다.

  • 사포닌(Saponins): 항스트레스 및 진통제 내성 억제 효과
  • 플라보노이드(Flavonoids): 항산화 및 항염 효과
  • 리그난(Lignans): 면역력 강화 및 항균 작용
  • 페놀 화합물(Phenols): 항균 및 항염 효과
  • 알칼로이드(Alkaloids): 신경 보호 효과

이러한 성분들 덕분에 음나무 수피(해동피)와 근피(해동수근)는 신경통, 관절염, 해열 등에 활용되며, 기능성 식품 및 건강보조제 원료로도 각광받고 있다.

4. 음나무 재배 기술

음나무 종자는 외부휴면과 내부휴면을 동시에 가지므로 발아 촉진 처리가 필요하다.

① 종자 채취 및 후숙

  • 10월 초~중순, 검게 익은 종자를 채취
  • 부패 과육 제거 후 72시간 물에 세척하여 발아 억제 물질 제거
  • 종자와 모래(2:1 비율) 혼합 후 10주간 변온 항온기에서 습사 저장

② 휴면 타파 및 파종

  • 선별된 종자를 GA₃ 1000ppm에 30분 침적
  • 4℃ 항온기에서 3~4주 처리 후 파종
  • 100% 충실한 종자 기준, 90% 이상의 발아율 기대 가능

5. 음나무와 양봉 산업의 발전 방향

음나무는 여름철 밀원이 부족한 시기에 개화하여 꿀 생산이 가능하며, 고유의 기능성 물질을 함유한 벌꿀 생산이 기대된다. 이를 통해 국내 양봉 산업의 부가가치를 높이고, 국제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을 것이다.

 

6. 바이텍스(Vitex agnus-castus)

  • 꿀이 나오는 시기:
    바이텍스는 6월부터 8월 사이에 꽃이 피며, 이때 꿀도 나옵니다. 꿀벌들이 잘 찾는 밀원식물로 알려져 있으며, 여름철 벌꿀 생산에 적합합니다.
  • 재배 특이사항:
    • 따뜻한 지역에서 잘 자라며, 배수가 좋은 토양과 햇볕이 잘 드는 장소가 필요합니다.
    • 병해충 저항성이 강한 편으로 관리가 비교적 쉬움.
    • 겨울철 온도가 너무 낮아지는 지역에서는 동해를 주의해야 합니다.

 

7. 유채꽃(Canola, Rapeseed)

  • 꿀이 나오는 시기:
    유채는 주로 4월에서 5월 사이에 개화하며, 이 시기에 꿀이 많이 나옵니다. 유채는 봄철 꿀 생산을 위한 대표적인 밀원식물입니다.
  • 재배 특이사항:
    • 가을에 파종하여 겨울을 나고, 이른 봄부터 자라기 시작합니다.
    • 물 빠짐이 좋은 토양과 약산성~중성 토양에서 잘 자랍니다.
    • 꽃이 필 무렵 질소 비료를 과하게 주면 꿀벌 유입이 줄어들 수 있으니 주의.

8. 아인스희숍(Anise Hyssop, Agastache foeniculum)

 

  • 꿀이 나오는 시기:
    아인스희숍은 6월부터 9월까지 꽃이 피며, 장기간 꿀이 나오는 특성이 있어 꿀벌들에게 매우 인기 있는 밀원식물입니다.
  • 재배 특이사항:
    • 배수가 잘되는 토양과 햇빛이 잘 드는 장소를 선호합니다.
    • 다년생 식물로 관리가 쉬우며, 여름철 더위와 가뭄에도 강함.
    • 씨앗으로 번식이 가능하고, 한번 심으면 해마다 다시 자라 꽃을 피웁니다.

 

참고: 한국양봉협회 밀원식물 https://www.korapis.or.kr/

반응형
사업자 정보 표시
마음씨농장 | 이호현 | 경상북도 안동시 와룡면 샘골길 43-88 | 사업자 등록번호 : 849-99-00414 | TEL : 010-5128-2978 | Mail : hosuck99@naver.com | 통신판매신고번호 : 제 2022-경북안동-0064호 | 사이버몰의 이용약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