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친환경 농산물이란?
친환경 농산물이란 친환경 농업을 통해서 생산된 유기농산물, 무농약농산물을 뜻한다. 여기서 친환경 농업은 합성농약, 화학비료, 향균제, 항생제 등 화학자재를 사용하지 않거나 사용을 최소화한 건강한 환경에서 농산물을 생산하는 것을 말한다. 이로써 생물 다양성을 높이고, 토양에서 생물적 순환과 활동을 촉진하며 농업 생태계를 건강하게 보전한다.
여기에서 무농약, 유기농 인증의 전반적인 내용을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친환경 인증의 종류
- 무농약 인증 ( 농약사용금지, 제초제사용금지 , 화학 비료는사용가능 )
무농약 인증은 농작물 재배 과정에서 화학 합성 농약을 사용하지 않고 생산된 농산물에 부여되는 인증입니다. 다만, 화학 비료는 최소량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유기농 인증 ( 농약금사용금지,제초제사용금지, 화학비료금지 )
유기농 인증은 화학 합성 농약과 비료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 자연 친화적인 방식으로 재배된 농산물에 부여되는 인증입니다. 이는 더 엄격한 기준을 적용합니다.
무농약 인증 절차
- 신청: 인증 기관에 신청서를 제출합니다.
- 검토: 농작물 재배 과정에서 농약 미사용 여부 및 제초제 미사용여부를 검토합니다.
- 현장 점검: 농지 및 생산 과정을 현장에서 확인합니다.
- 인증 발급: 기준 충족 시 무농약 인증서를 발급받습니다.
유기농 인증 절차
- 신청: 유기농 인증 신청서를 작성하여 제출합니다.
- 전환 기간: 화학 물질 사용을 중단하고, 일정 기간(2~3년) 자연 상태를 유지해야 합니다.
- 현장 심사: 토양 상태, 재배 과정, 수확 방식 등을 현장에서 점검합니다.
- 인증 발급: 모든 기준을 충족하면 유기농 인증서를 발급받습니다.
무농약과 유기농의 차이점
- 농약 사용: 무농약은 농약 사용 금지하지만, 화학 비료는 허용됩니다. 유기농은 농약과 비료 모두 사용을 금지합니다.
- 전환 기간: 유기농 인증은 전환 기간이 필요하지만, 무농약 인증은 전환 기간이 없습니다.
- 환경 기여도: 유기농은 환경 보존 및 생물 다양성에 더 큰 기여를 합니다.
인증절차 및 과정
- 경영관련자료(영농일지) 작성
- 유기는 2년, 무농약은 1년 이상 작성필요
- 1년 농사기간동안의 재배과정을 기록한 내용 - 친환경농업 의무교육 이수
- 최근 2년 이내 수료증 필요 (온라인교육가능: https://agriedu.net/) - 토양검정 의뢰
- 해당 지역 농업기술센터에 토양검정의뢰팀에 검사받을 토지의 흙을 검사의뢰 - 인증신청서, 생산계획서
- 인증기관을 선택한후에 인증 담당자와 협의해서 작성가능합니다. - 경영관련자료, 토양검사성적서
- 인증기관을 선택한후에 인증 담당자와 협의해서 작성가능합니다.
- 토양검사성적서는 농업기술센터에 의뢰하면됩니다.
인증 신청 → 2. 심사 → 3. 인증서 발급 → 4. 연간 관리 및 갱신
인증 절차는 농림축산식품부 또는 인증기관의 가이드라인에 따릅니다. 주요 인증기관으로는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농업회사법인 등이 있습니다.
반응형
무농약인증과 유기농인증 비용
1. 무농약인증
- 신청비용: 약 10만~20만 원
신청 시 기본적으로 소요되는 비용입니다. - 심사비용: 면적과 심사 범위에 따라 차등 적용
- 소규모: 약 20만~50만 원
- 대규모: 약 50만 원 이상
- 연간 관리비: 약 10만~30만 원
인증 후 매년 인증 유지 및 관리 점검에 필요한 비용입니다. - 추가비용: 토양 분석, 잔류 농약 검사 등의 비용 발생 가능 (약 10만~30만 원)
2. 유기농인증
- 신청비용: 약 10만~30만 원
인증 신청 시 발생하는 기본 비용입니다. - 심사비용: 무농약인증과 마찬가지로 면적에 따라 차등 적용
- 소규모: 약 30만~50만 원
- 대규모: 50만~100만 원 이상
- 연간 관리비: 약 20만~50만 원
유기농 인증 후에도 인증 유지 및 관리에 필요한 비용입니다. - 추가비용: 토양 검사, 수질 분석, 농약 잔류 검사 등의 추가 비용 발생 가능 (약 20만~50만 원)
추가 고려 사항
※ 농민의 경우 지방자치단체로 부터 인증비용을 대부분 환급받을수 있다.
- 지원 정책:
일부 지방자치단체에서는 농민을 대상으로 무농약 및 유기농 인증 비용을 지원하는 정책을 운영합니다. 해당 지역 농업기술센터나 농업 관련 지원 기관에 문의하여 보조금 혜택을 확인하세요. - 규모에 따른 차이:
농업 규모가 클수록 인증 비용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특히 유기농은 인증 기준이 엄격해 더 많은 심사 절차와 비용이 필요합니다. - 인증 기간:
인증 유효기간은 1년으로, 매년 갱신 비용이 발생합니다.
인증의 혜택
친환경 인증을 통해 소비자 신뢰를 얻고, 고부가가치 농산물로 시장에서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또한, 지속 가능한 농업 발전에 기여합니다.
인증받은 농가는 지차체별로 보조사업 및 유기자제 구입시 혜택을 받을수 있다.
친환경 인증 관련업체 알아보기
친환경 인증과 관련된 더 많은 정보를 원하시면 공식 웹사이트를 방문하세요.
인증업체 | 연락처 | 홈페이지 |
한국유기농인증 | 031-1899-6285 | https://koc2022.modoo.at/ |
케이농식품인증센터 | 02-458-4200 | http://kafcc.net/ |
(유)위써트인증원 | 033-732-4234 | https://www.wecert.co.kr/ |
(주)인증포럼 | 02-423-7748 | https://xn--cm2b56zcsbv3r.kr/ |
그외에 다수 업체가 있으니 공식 웹사이트 참조 |
친환경 인증번호 확인하기
친환경인증관리시스템 친환경인증번호로 인증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곳
인증번호를 조회해서 인증업체외 인증품목등을 확인할 수 있다.
소비자24에서도 인증정보 확인가능 https://www.consumer.go.kr/
반응형
사업자 정보 표시
마음씨농장 | 이호현 | 경상북도 안동시 와룡면 샘골길 43-88 | 사업자 등록번호 : 849-99-00414 | TEL : 010-5128-2978 | Mail : hosuck99@naver.com | 통신판매신고번호 : 제 2022-경북안동-0064호 | 사이버몰의 이용약관 바로가기
'농작물재배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추 주요 병해충 예방과 방제요령 (0) | 2025.01.20 |
---|---|
땅콩 재배방법 알아보기 (0) | 2025.01.19 |
야콘 재배과정 및 야콘효능 알아보기 (0) | 2025.01.04 |
한지형 마늘심기 , 마늘재배 알아보기 (0) | 2025.01.03 |
봉화에서 수박 접목 이야기 , 수박 모종 키우기 (1) | 2025.01.02 |